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

삼성전자의 2021년 8월 24일 240조원 투자계획(한국투자 180조원, 해외투자 60조원)* 최근 3년간 180조원이 전략사업에 투자, M&A를 통한 리더십 강화, 차세대 반도체 투자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1

[세계 최고의 시스템 반도체 사업] – 첨단 공정 개발 및 과감한 투자로 혁신제품 경쟁력 확보* 3나노미터 조기 양산 계획을 위한 신기술(GAA) 신구조물 개발. → AI, 데이터 센터

반도체는 한국 경제의 ‘안전판’이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 기반이다 – 경쟁력을 잃으면 생존을 위한 투자가 불가능하다 * 한국은 2020년 수출 19.3%, 제조업 설비투자 45.2%를 기록하고 있다.

%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2
  • 미국과 유럽연합(EU)도 중국 반도체산업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.

    세계 반도체산업의 패권경쟁이 유례가 없는 세계 반도체산업 지원액 500억달러 EU 2030년까지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20% 중국 2035년까지 연평균 7%씩이다.

  • –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– 인텔, 대만 등 – 시스템 반도체 시장 패권경쟁* 인텔 : 2021년 3월 200억달러(약 23조4000억원) – TSMC : CDMO/바이오시밀러 사업 강화 (제2차 반도체 사업) – 바이오 생산관리 9년 만에 경영
  • – 건설 중인 4개 공장이 완공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62만ℓ의 압도적인 생산능력을 보유해 CDMO 분야*2위 베링거 잉겔하임 48만ℓ의 세계 1위 업체가 된다.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3
  • 바이오시밀러를 담당하는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미 5개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이어가고 있는 등 10번째 제품 임상시험에 돌입했다.

  • – CDMO 분야 5, 6공장 건설 투자계획 –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거점으로서의 역할 확보 – 백신, 세포유전자 치료 등 차세대 치료제 CDMO 신규 진출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4
  •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의 지속적인 확장 및 업그레이드에 대한 투자
  • – 전문인력 양성, 원재료 국산화, 중소 바이오기술 지원으로 국내 바이오산업 활성화 유도
  • [바이오 분야 투자 필요] –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마스크 부족, 백신 수출 제한 등으로 바이오산업은 ‘고부가가치 지식산업’을 넘어 ‘국가안보산업’으로 전환 – 바이오주권 확보가 중요한 국정과제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5

[차세대 통신, 5G/6G 선도기업] – 삼성은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달성하였습니다.

– 차세대 통신 연구센터, 6G 백서, 첨단 통신망과 지능을 위한 S/W 역량. –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, 기술 개발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6

[4차 산업혁명] – AI, 로봇, 슈퍼컴퓨터 등 – AI를 탑재한 글로벌 AI센터 – 고성능 AI 알고리즘을 탑재한 첨단기술 – 로봇, 폼팩터, 로봇 TF, 첨단 디스플레이 등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7

미래세대의 고용기회 창출(3년간 직접고용 4만명) 투자·생산 56만명 고용유발-서울·수도·중앙(대전)·전라(광주)·경상(구미) 캠퍼스 등 3만명까지 첨단사업 중심의 고용확대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8

[상생협력 프로그램 확대] – 중소 협력사 경영안정을 위한 상상자금 유지 – 3년간 2,400억 원 – 기초과학기술 3,500억 원 – 재료/부품/국산화/차세대 첨단기술 150억 원

210824 삼성전자 240조 투자계획 전문화 9